건강에 관한 도움되는 이야기를 전하는 강한남자프로젝트, 건강톡 시간입니다. 평소 건강을 챙기고 관리하는 것은 너무나도 중요한 일인데요. 도움되는 건강 정보를 알아두시는 것도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협심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협심증이 심해지면 생명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요. 무서운 질환이기에 평소에 관리와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 동맥이 좁아지면서 생기는 질환인데요. 심장 부위가 평상시보다 적은 양의 혈액의 산소를 공급 받을때 생기는 가슴 압박감 그리고 통증과 불편함이 느껴지는 것을 말합니다. 동맥경화증이나 혈전증, 혈관 수축 같은 혈관 협착을 유발하는 것들이 협심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죠. 협심증의 종류
불안정한 협심증규칙적인 패턴 없이 갑작스럽게 찾아올 수 있는데요. 만성 협심증과 같이 약물 치료에는 별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협심증 증상이 비교적 심각한 편입니다.안정 및 만성 협심증심장이 평소보다 활발하게 활동할때 발생하는 협심증을 안정 협심증이라고 하는데요. 규칙적인 패턴이 존재하며 몇 달 혹은 몇 년에 걸쳐서 나타나므로 예측 할 수 있습니다. 휴식을 취하거나 약물치료를 통해서 충분히 케어할 수 있습니다.미세 혈관 협심증드물게 발생하는 문제인데요. 기저 관상 동맥 질환이 없음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휴식 중에 생길 수 있는 문제로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좁아지거나 이완 되어 심장으로 이동하는 혈류를 낮추는 협심증 증상으로 약을 통해서 어느 정도 완화 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자가 진단
– 최근 1년 사이에 가슴 통증을 종종 느낀 적이 있다.- 계단이나 언덕을 올라도 숨이 심하게 찬다.- 과식을 하면 가슴 중앙 부분이 뻐근하고 답답하다.-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가슴 전체에 통증이 온 적이 있다.- 날씨가 추울때 가슴이 아프다.만약 위의 증상이 보인다고 한다면 협심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협심증 증상
가슴쪽이 쥐어짜이는듯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슴의 정중앙이나 좌측 부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명치나 턱 끝쪽에 통증이 생기기도 하고 속이 아프면서 가슴이 쓰린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호흡곤란 증상이 함께 동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메스꺼움, 구토, 가슴 통증, 식은땀, 저체온증, 피부 변색 같은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협심증 예방
평소 균형잡힌 식단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흡연은 피하셔야 하는데요. 담배는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에 금연을 해주셔야 합니다. 스트레스 관리도 해야 하는데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과도한 흥분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고혈압, 당뇨병 같은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건강을 챙겨주시는 것도 협심증을 예방하기 위해 도움이 되는 방법 입니다. 협심증 치료
– 약물치료근본적인 관리는 어렵지만 약물을 통해서 증상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병의 악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관상동맥 중재술좁아진 혈관에 금속으로 된 그물망을 넣어서 혈관에서 펼치는 것인데요. 좁아진 관상동맥을 다시 넓혀주기 때문에 혈액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만들어 줍니다.- 우회로술관상동맥 우회로술이라고 하는 방법은 위의 2가지 방법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분들에게 하는 방법인데요.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이 제대로 흐르지 못하는 부분들을 우회하여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혈관을 연결해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오늘은 협심증 증상 및 자가진단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협심증은 결코 쉽게 볼 문제는 아니기에 반드시 정확한 관리를 통해서 문제를 케어할 수 있어야 하는데요. 전해드린 건강 정보 역시 잘 기억해두시고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